“자식을 위로함 같이 내가 너희를 위로할 것이라”
밤이 깊어 갈수록 청소년들의 절박한 목소리가 전화기 너머로 들려온다. 생명의전화 전화상담과 청소년 상담 채널 ‘라임’(LIME)을 통해 접수되는 사연들은 단순한 하소연이 아니다. 그것은 삶의 마지막 문턱 앞에서 건네는 구조 신호다. 그러나 이 외침에 아무도 응답하지 않는다면, 청소년들은 더 깊은 상처를 안은 채 생의 의욕마저 꺼뜨리게 될 것이다.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0대(10-19세)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7.9명으로, 2018년 4.7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청소년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사실과 함께, 사회의 구조적 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질병관리청 ‘청소년 건강실태조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 37.3%, 우울감 경험율 26%, 자살 충동 경험율 13.5%, 자살 시도율 5.25%, 고립감 경험율이 18.1% 등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1-2명이 생의 의미를 잃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2023년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에 따르면, 10-20대 자해·자살 시도자 비율은 2013년 29.3%에서 2023년 43.8%로 14.5% 급증했다. 같은 기간 중독 관련 손상 비율도 19.2%에서 33.5%로 상승, 청소년 정신건강의 심각한 위기를 보여준다.
청소년 자살·자해 문제는 단순한 행동 문제가 아니다. 자신을 향한 분노와 절망, 외로움, 인정받지 못한 감정을 신체적 고통으로 전환해 표현하는 행위다. 상담 현장에서는 “자해를 하면 마음이 편해진다”는 말을 흔히 들을 수 있다. 이는 가정도, 학교도, 사회도 제공하지 못한 공감과 위로의 언어를, 자신의 상처를 통해 대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생명의전화가 제시한, 이런 현실 가운데 청소년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역할 네 가지.
첫째, 청소년의 마음을 먼저 들어야 한다. 어른의 시각으로 충고하거나 판단하기보다, 경청과 공감으로 다가서는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는 감정과 마음을 배우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정서교육과 생명존중 교육은 단순한 형식이 아닌, 진정한 감정 공유의 시간이 되어야 한다. 셋째, 상담 접근성을 높이고 위기 개입 체계를 촘촘히 구성해야 한다. 넷째,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손잡아야 한다.
생명을 지키는 일은 거창하지 않다. 매년 5월 청소년을 살리는 걸음, 자살예방 캠페인 ‘함께고워크’는 함께 걸으며 청소년 응원 메시지를 전하는 시민 참여형 캠페인이다. 생명의전화 하상훈 원장은 “생명을 살리는 힘은 전문가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며 “아이들의 손을 따뜻하게 잡아주는 사회 전체의 관심과 연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출처: 크리스천투데이 종합).
어머니가 자식을 위로함 같이 내가 너희를 위로할 것인즉 너희가 예루살렘에서 위로를 받으리니 너희가 이를 보고 마음이 기뻐서 너희 뼈가 연한 풀의 무성함 같으리라 여호와의 손은 그의 종들에게 나타나겠고 그의 진노는 그의 원수에게 더하리라(이사야 66:13-14)
그러므로 함께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아 우리가 믿는 도리의 사도이시며 대제사장이신 예수를 깊이 생각하라(히브리서 3:1)
하나님, 깊은 절망 속 어디에도 하소연할 곳 없이 답답한 마음으로 생의 의욕마저 상실한 다음세대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이 땅의 교회와 기성세대에게 넓은 마음을 허락하사 청소년들의 상한 마음을 돌아보며 저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옵소서. 무엇보다 어머니가 자식을 위로함 같이 우리 영혼의 위로자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여 저들이 참된 위로를 얻게 하소서. 다음세대를 자해와 자살 충동으로 몰아가는 악한 사탄을 대적하며 기도하오니, 이 땅의 청소년들이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임을 복음 안에서 발견하게 해주십시오. 그리하여 모든 상황 속에서도 우리의 믿는 도리의 사도이신 예수를 깊이 생각하므로 저들의 삶이 기쁨의 승리로 넘치게 하소서.
기도정보제공: 기도24·365본부
prayer@prayer24365.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