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라”
설교 한편을 1분도 되지 않아 척척 써 내려가는 ‘챗GPT’의 등장이 한국교회에 큰 화두를 던진 가운데, 이제는 챗GPT의 찬반 논쟁을 따질 때가 아니라 활용방안을 논의할 때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기독교언론포럼과 문화선교연구원 주최로 지난 27일 필름포럼에서 ‘AI가 묻고 한국교회가 답하다’라는 주제로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발제를 맡은 김동환 교수(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는 “챗GPT의 시대가 도래한 가운데, 기술의 근간은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 원리이자 알고리즘인 ‘기계학습(머신 러닝)’에 있다”라며 “인공지능의 기계학습은 인간의 학습 방식을 인공적으로 모방한 학습 방식”이라고 밝혔다.
챗GPT의 기술은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방식이 아닌, 기존에 인간이 쌓아놓은 데이터를 모방함으로써 더욱 많은 데이터에 의지해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인 것. 그는 “챗GPT의 근간이 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 원리를 알게 되면, 이 기술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시대가 됐음을 인식하게 된다”며 최첨단 기술의 등장 이후에 일어난 ‘찬반 논쟁’은 무용하다는 뜻을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초기, 교회의 온라인 예배의 찬반 논쟁이 이후에는 무색해졌던 것처럼 이제는 교회가 챗GPT의 올바른 활용방안을 논의할 때라는 것. 이러한 점에서 그는 챗GPT의 활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측면에서 살폈다.
먼저 개인윤리 차원에서 챗GPT의 활용이 ‘표절’ 시비에 휩싸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김 교수는 “표절이 문제가 되는 것은 인용해서가 아니라 인용했음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설교나 목회서신, 교회 간행물에서나 챗GPT를 사용했다면, 이를 밝히면서 활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사회 윤리적 차원에서는 챗GPT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 교회가 사용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챗GPT 활용지침’ 혹은 ‘챗GPT 윤리 규범’을 만들 것을 요청했다. 챗GPT의 사용이 일반화되면 일어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도 있다. 챗GPT는 기계학습을 통해 사전에 훈련되는 기술로서 잘못된 내용의 데이터가 올바른 내용의 데이터보다 더 많이 입력될 경우, 잘못된 데이터에 근거한 결과를 도출하기 쉽다.
김 교수는 “만약 ‘구원’에 관해 기독교 이단에서 엄청난 양의 잘못된 데이터를 인터넷상에 유포시킨다면, 구원에 관련된 질문에 대해 챗GPT가 잘못된 구원관으로 답변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인터넷에 지속적으로 올바른 신앙과 신학적인 내용을 입력하고 유포시킬 수 있을지 고민하고 노력해볼 필요가 있다. 그는 “한국교회 차원에서 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공지능이 나날이 발전하는 시대, 목회자가 막연히 챗GPT의 등장을 두려워하기보다 영성을 갖출 것을 요청했다. 김 교수는 “목회 윤리적 차원에서 영성과 도덕성을 갖춘 목회자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시대가 바로 챗GPT의 시대”라고 말했다(출처: 아이굿뉴스 종합).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로마서 12:2)
끝으로 너희가 주 안에서와 그 힘의 능력으로 강건하여지고 마귀의 간계를 능히 대적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입으라(에베소서 6:10-11)
하나님, 급속히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인공지능 로봇의 출현으로 우리의 신앙을 위협하는 유혹과 타협의 도전 앞에 선 한국교회를 위해 기도합니다. 모든 질문에 간단한 검색만으로 답을 얻고 설교 한편을 1분 만에 써주는 로봇을 의지하게 해, 살아계신 하나님과의 교제를 단절시키려는 마귀의 간계를 파하여 주십시오.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이 세대를 따라가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귀 기울여 듣고 분별하는 지혜와 믿음에 굳게 서는 은혜를 주옵소서. 그리하여 인공지능에 수동적으로 침몰당하지 않고 도리어 모든 기술을 선교의 도구로 사용하며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입고 주의 날을 예비하는 거룩한 교회가 되게 하소서.
기도정보제공: 기도24·365본부
prayer@prayer24365.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