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강이 이르는 각처에 모든 것이 다시 살아나리라(에스겔 47:9)”

》 기본정보
인구 | 아메리카 10억 명, 북아메리카 5억7천만 명, 남아메리카 4억3천만 명
면적 | 아메리카 4,225만(㎢) 북아메리카 2,177만(㎢), 남아메리카 2,028만(㎢), 카리브해 24만5천(㎢)
나라 | 북아메리카 5개국, 카리브해 26개국, 남아메리카 22개국
주요종족 | 북아메리카 유럽인 66.4%, 히스패닉 12.2%, 아프리카인 11.5%, 동아시아인 2.0%, 유대인 1.8%, 아랍인 1.5%, 원주민 1.5%, 남아시아인 1.1%, 기타 2.2%
카리브해 라틴계 카리브해인 86.6%(19개 종족), 아프리카계 카리브해 종족 10.1%(17개 종족), 남아시아인 1.6%, 기타 1.7%
남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인 96.5%(874개 종족) 유럽 기원 종족 1.7%, 기타 1.8%
미전도 종족 | 북아메리카 177개(11.4%) 6억284만, 남아메리카 95개(9.9%) 4억3815만
언어 | 북아메리카 전체 언어 443, 캐나다 퀘벡과 생피에르미클롱에서 사용하는 프랑스어, 그린란드에서 사용하는 덴마크어를 제외하면 영어가 주된 소통 언어다. 특히 미국 서부에서는 점점 스페인어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성경이 번역된 언어 전 9, 신 31, 부 48, 진 27
남아메리카 전체 언어 503, 성경이 번역된 언어 전 32,신 291, 부 130, 진 276
종교 | 북아메리카 기독교 77.9%(개신교 25.78%, 가톨릭 23%), 무종교 16.75%, 이슬람교 1.75% 유대교 1.6% 복음주의 26.84%
남아메리카기독교 92.14%(개신교 11.24%, 가톨릭 77.35%), 무종교 4.15%, 종족종교 2.74% 복음주의 16.73%
》 나라개요
아메리카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두 대륙, 그리고 여러 국가와 자치령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메리카는 종종 ‘신대륙’이라고 불리지만, 사실 고대 북유라시아인들이 이미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해 살고 있었고, 기원전부터 원주민들의 문명이 존재해 왔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신대륙은 아니다.
유럽인들의 아메리카 대륙 탐험은 1000년경 바이킹들이 현재 캐나다 뉴펀드랜드에 도달하면서 시작되었으나, 정착에는 실패했다. 이후 1492년, 콜럼버스가 스페인의 후원을 받아 카리브해의 바하마 군도에 도달하며 유럽과 아메리카의 관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약 40년이 지나면서 스페인 탐험가들이 중남미에 거대한 식민지를 세우기 시작했고, 영국은 1600년대 초반 북미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유럽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대규모 학살과 종살이, 핍박을 겪으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이는 아메리카 대륙의 인종 관계와 사회적 갈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아프리카에서 온 노예들이 주요 노동력으로 사용된 비극적인 역사도 아메리카 대륙의 상처로 남아 있다.
1776년 미국 독립 혁명과 1791년 아이티 혁명을 시작으로, 아메리카 대륙은 유럽의 식민지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루었다. 이후 많은 아메리카 국가들이 민주주의와 입법, 행정 체계를 확립하며 비슷한 정치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등 주요 식민지 언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토착어를 다시 사용하려는 노력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식민지 언어를 소통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경제는 아메리카 대륙은 북미, 중미, 남미로 나뉘며 각 지역은 고유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북미는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미국은 세계 최대의 경제 대국이다. 미국은 기술, 금융, 제조업, 서비스업 등이 발달한 강력한 경제를 자랑한다. 캐나다는 자원 기반 경제와 첨단 산업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중미와 카리브해 지역은 상대적으로 농업과 관광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남미는 원자재와 농산물 생산이 주요 산업이며, 산업화가 진행 중이지만, 경제적 불균형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문제로 남아있다.
》 말씀묵상
에스겔 47:1-12 1. 그가 나를 데리고 성전 문에 이르시니 성전의 앞면이 동쪽을 향하였는데 그 문지방 밑에서 물이 나와 동쪽으로 흐르다가 성전 오른쪽 제단 남쪽으로 흘러 내리더라 2. 그가 또 나를 데리고 북문으로 나가서 바깥 길로 꺾여 동쪽을 향한 바깥 문에 이르시기로 본즉 물이 그 오른쪽에서 스며 나오더라 3. 그 사람이 손에 줄을 잡고 동쪽으로 나아가며 천 척을 측량한 후에 내게 그 물을 건너게 하시니 물이 발목에 오르더니 4. 다시 천 척을 측량하고 내게 물을 건너게 하시니 물이 무릎에 오르고 다시 천 척을 측량하고 내게 물을 건너게 하시니 물이 허리에 오르고 5. 다시 천 척을 측량하시니 물이 내가 건너지 못할 강이 된지라 그 물이 가득하여 헤엄칠 만한 물이요 사람이 능히 건너지 못할 강이더라 6. 그가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네가 이것을 보았느냐 하시고 나를 인도하여 강 가로 돌아가게 하시기로 7. 내가 돌아가니 강 좌우편에 나무가 심히 많더라 8. 그가 내게 이르시되 이 물이 동쪽으로 향하여 흘러 아라바로 내려가서 바다에 이르리니 이 흘러 내리는 물로 그 바다의 물이 되살아나리라 9.이 강물이 이르는 곳마다 번성하는 모든 생물이 살고 또 고기가 심히 많으리니 이 물이 흘러 들어가므로 바닷물이 되살아나겠고 이 강이 이르는 각처에 모든 것이 살 것이며 10. 또 이 강 가에 어부가 설 것이니 엔게디에서부터 에네글라임까지 그물 치는 곳이 될 것이라 그 고기가 각기 종류를 따라 큰 바다의 고기 같이 심히 많으려니와 11. 그 진펄과 개펄은 되살아나지 못하고 소금 땅이 될 것이며 12. 강 좌우 가에는 각종 먹을 과실나무가 자라서 그 잎이 시들지 아니하며 열매가 끊이지 아니하고 달마다 새 열매를 맺으리니 그 물이 성소를 통하여 나옴이라 그 열매는 먹을 만하고 그 잎사귀는 약 재료가 되리라 |
》 기도제목
1. 북아메리카는 위대한 복음주의자와 선교 정책가가 많이 일어나 전 세계에 복음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많이 끼쳤다.(피니, 무디, 빌리 그레이엄 등) 그리고 아메리카의 작가, 연설가, 목회자, 훈련가는 복음의 훈련과 가르침, 양육과 권한 이양 등으로 그리스도의 몸인 세계 교회를 위해 엄청난 대가를 지불하며 섬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미국의 교회는 선교의 진보를 위해 아낌없는 헌금으로 지원했다.
아메리카 안에 담아 놓으신 복음의 생명으로 전 세계를 섬기게 하신 주님을 찬양하자. 성전 문지방에서 흐르는 물이 강이 되어 강물이 이르는 곳마다 번성하고 생명이 살아난 에스겔의 환상처럼, 아메리카의 영향력이 전 세계에 미치는 모든 영역 안에 복음으로 인해 회복이 일어나 하나님 나라가 부흥되고 선교가 완성되기를 기도하자.
2. 아메리카는 세계 복음주의자의 35%가 넘는 근원지이다. 지난 세기,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복음주의자가 굉장한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1900년, 복음주의자는 약 70만 명 또는 인구의 약 1%에 달할 정도였지만, 2010년에 이르러서는 9,100만 명이나 되는 인구의 16.8%에 이르는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성장은 대부분 복음을 향한 열정으로 작은 교회를 개척한 수만 명의 평신도와 목회자가 신실하고 꾸준히 복음을 선포하고 증거한 결과이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남미 인구의 90%가 가톨릭 신자였지만, 민주화 열풍과 군사 독재 정권의 시녀 역할을 한 일부 가톨릭교회에 대한 주민들의 반감은 개신교 성장의 토양이 되었다. 최근 조사 결과 남미의 많은 가톨릭 신자가 개신교로 전향하고 있다.
선교에 대한 비전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성숙하고 있다. 1987년,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선교집회(COMIBAM)가 전국적인 관심을 일으키면서 미전도종족에게 복음을 전하는 다양한 계획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고, 지금은 1만 명이 넘는 선교사와 400개가 넘는 선교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이렇게 늘어난 선교사와 단체들은 라틴아메리카 바깥의 복음화되지 않은 세계를 섬기고 있다. 주요 선교사 파송국은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페루다.
아메리카에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복음주의자들이 더욱 일어나게 하시고, 온 열방의 선교 완성을 위해 사람을 낚는 어부로 부르시는 예수님의 부르심 앞에 자신의 삶을 기꺼이 드리는 헌신자들을 계속 일으켜 주시도록 기도하자.
3. 반기독교 세속주의와 공격적인 무신론이 고조되고 있는 아메리카를 위해 기도하자. 특히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발전하고 안정적인 국가인 칠레와 우루과이의 경우 세속주의자들과 무신론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06년 우루과이 국립연구소의 연구에 의하면, 응답자의 40%가 자신은 종교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2013년 칠레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18%가 자신을 무신론자 혹은 영지주의자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아메리카 안에서 대중매체와 법률 제정을 통해 교회를 소외시키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다문화와 다원주의를 지향하는 아메리카는 ‘관용’이라는 표어를 실천하면서도 공적인 영역에서 기독교 신앙을 실천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는 관용을 허락하지 않는다.
성소를 통하여 나오는 물로 달마다 각종 과실 나무에 새 열매가 맺어지고 그 잎사귀는 약 재료가 되듯, 아메리카의 교회를 진리로 거룩하게 하사 하나님을 대적하는 아메리카의 영혼들을 복음으로 치료하고, 새 생명의 열매가 풍성하여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아메리카가 되게 해주시길 기도하자.
》 “아메리카”의 최신 기도정보로 기도해 주세요.
》열방의 긴급한 소식으로 기도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