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세에 자기를 사랑하는 고통에서 네가 돌아서라”
미국도 거의 3명 중 1명이 혼자 살 정도로 사회가 급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미국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인 가정의 비율은 역대 최고인 29%를 기록했다. 이 같은 비율은 1940년 8%에 불과하던 것이 1960-1970년대에 10%대, 1980년대에 20%대를 거쳐 치솟았다.
다른 사회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1인 가구 증가는 결혼 기피나 늦은 결혼, 고령사회, 저출산 등 사회현상과 함께 목격된다. 미국 통계청에 따르면 미국은 2021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6.8%로 초고령사회에 다가서고 있다. 가임여성 1인당 평균 출생아 수(합계출산율)는 1960년 3.65명이던 것이 2020년 기준 1.64명까지 뚝 떨어졌다.
경제성장을 떠받칠 노동인구가 부족해지는 저출산·고령화는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이자 결과로 관측된다. 국가 공동체 유지 면에서 복합적 난제인 1인 가구의 비율은 경제성장을 일찍 이룬 선진국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난다.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에 따르면 2020년 현재 1인 가구 비율은 핀란드 44.7%, 독일 42.3%, 스웨덴 39.8% 등으로 나타난다. 통계청의 작년 12월 발표를 보면 한국에서도 2021년 1인 가구의 비율이 전체 가구의 33.4%로 높은 축에 속한다.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증가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경제적 자립 성취와 특히 관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미국 뉴욕대의 사회학자 에릭 클리넨버그는 미국 더힐 인터뷰에서 “역사를 보면 여성이 자기 삶과 몸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기 시작하며 혼자 사는 사람들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여러 나라에서 최근 수십 년간 한꺼번에 확인되는 이 같은 현상은 너무 급격해 추세라기보다 사회변혁이라는 진단이다. 클리넨버그는 “충격적인 사회 변화”라며 “지난 세기에 심각하게 여기지 않고 놓쳐버린 최대의 인구통계학적 변동”이라고 주장했다.
혼자 사는 사람들의 증가를 보는 시각은 독립과 자주의 시대 개막, 기존 인간사회의 해체 등 둘로 나뉜다. 사회 심리학자인 벨라 데폴로는 “혼자 사는 것은 꿈의 실현”이라며 “언제 잘지, 언제 일어날지, 무엇을 언제 먹을지, 무슨 재미있는 것을 볼지 자기 삶을 엄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간 사회의 최소단위로 여겨지던 전통적 가정을 떠나 홀로 살아가는 데 암울한 면이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뉴욕타임스는 50-60대가 혼자 살면서 번창할 수는 있지만 연구 결과를 보면 혼자 늙어가는 사람들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이 덜 좋고 일찍 죽는 게 명백하다고 지적했다(출처: 연합뉴스 종합).
너는 이것을 알라 말세에 고통하는 때가 이르러 사람들이 자기를 사랑하며 돈을 사랑하며 자랑하며 교만하며 비방하며 부모를 거역하며 감사하지 아니하며 거룩하지 아니하며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니 이같은 자들에게서 네가 돌아서라(디모데후서 3:1-2,5)
하나님, 말세에 경고하신 말씀처럼 이 세대가 자기를 사랑하느라 교제를 단절하고 혼자 살아가는 것이 영혼의 고통임을 깨닫고 돌아서게 해주십시오. 경제와 교육 수준이 발전할수록 자기 삶의 통제권을 스스로 쥐고 싶어서 희생과 섬김의 기쁨, 또한 경건의 능력은 잃어가는 영혼들에게 진리의 빛을 비춰주소서. 교회가 이러한 현상을 가볍게 여기지 않고 복음을 전하여 온 열방의 백성이 하나님 나라를 함께 누리는 것의 즐거움을 발견하게 하옵소서.
기도정보제공 : 기도24·365본부
prayer@prayer24365.org